
20대 & 30대 세대는 ‘열심히 일하면 집을 살 수 있다’는 공식이 깨진 시대를 살고 있습니다. 서울의 전세금은 억대가 기본이고, 1인 가구는 고정비 부담이 크며, 맞벌이 부부도 아이 양육과 대출 상환에 허덕입니다. 이런 현실에서 자산관리는 단순한 절약이나 저축을 넘어, 가정환경·직업·지역 특성을 고려한 ‘생활 밀착형 전략’이 필요합니다. 이 글은 20대 & 30대 한국 청년들의 상황을 반영해, 단계별 자산설계 방법을 직장인·사회초년생·맞벌이 부부별로 안내합니다.
사회초년생: 월세 살면서도 돈이 남는 구조 만들기
경기도에 사는 20대 후반 이씨는 첫 직장을 다닌 지 1년 차입니다. 월급은 270만 원이고, 월세는 관리비 포함 65만 원입니다. 그는 지출을 무조건 줄이는 대신, 지출의 구조를 바꾸는 방식을 택했습니다. 통신요금은 알뜰폰으로, 보험은 꼭 필요한 실비보험만 가입하고, 나머지는 '생활비 통장'과 '투자 통장'을 분리해 월급 받는 날 자동 분배하도록 설정했습니다. 남는 돈은 CMA와 ISA 계좌에 넣고 매달 30만 원씩 ETF에 적립식으로 투자합니다. 이렇게 실천하자 생활비는 월 120만 원에 고정되고, 나머지는 자동으로 자산으로 전환되기 시작했습니다. 사회초년생의 핵심은 '얼마를 모으냐'보다 ‘흐르지 않도록 자동화된 구조’를 만드는 것입니다.
직장인: 월급의 흐름을 바꾸면 자산의 속도도 달라진다
서울에 사는 30대 초반 직장인 박씨는 대기업 7년 차로, 세전 연봉은 약 6천만 원입니다. 그는 월급이 늘어나도 통장에 돈이 남지 않는 이유를 고민하다, ‘소득은 늘었지만 구조는 그대로’라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이후 월급을 3가지로 나누기 시작했습니다. ① 필수지출(월세, 식비 등) ② 미래지출(연금저축, 청약통장) ③ 투자지출(ETF, 리츠, 금). 특히 월 50만 원씩 넣는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는 연말정산 때 돌려받는 세금 혜택까지 더해지며 실질 수익률을 높였습니다. 그는 "이제는 내가 일하지 않아도 자산이 스스로 움직이는 느낌"이라고 말합니다. 자산은 많아야 움직이는 게 아니라, 방향을 바꾸면 속도가 달라지는 구조입니다.
맞벌이 부부: 함께 버는 만큼, 분리 관리가 기본이다
인천에 거주하는 신혼부부 김씨 부부는 맞벌이지만, 처음엔 모든 자산을 하나로 관리하다 돈의 흐름이 불투명해지고, 불필요한 소비도 많아졌습니다. 이후 월급 통장을 각각 유지하되, 공동 생활비 통장을 따로 만들었습니다. 관리비, 식비, 육아비 등은 공동 계좌에서 지출하고, 각자 자유롭게 쓸 수 있는 금액은 따로 설정했습니다. 아내는 연금저축과 채권형 펀드에, 남편은 리츠와 국내 배당주 ETF에 투자해 리스크를 분산하고 있습니다. 부부가 각자 ‘자기만의 자산 구조’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공동 생활 흐름’을 조율하자, 갈등도 줄고 장기적 자산 목표도 뚜렷해졌습니다. 맞벌이 부부일수록 모든 걸 합치는 것보다, ‘공동+개별’의 이중 구조가 효과적입니다.
결론: 소득의 크기보다 흐름의 방향이 자산을 만든다
20대 & 30대는 누구나 돈이 부족합니다. 하지만 지금의 한계를 탓하기보다는, 내 돈이 어디로 흘러가고 있는지부터 점검해야 합니다. 사회초년생은 자동화된 기본 구조, 직장인은 소비와 투자의 분리, 맞벌이 부부는 공동과 개인의 균형이 핵심입니다. 자산은 버는 돈으로 쌓는 것이 아니라, 지출의 흐름을 바꿔서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돈의 흐름을 내가 통제할 수 있을 때, 자산의 크기도 비로소 달라지기 시작합니다.